스포츠 뉴스 - 몽키TV

본문 바로가기

[사회] 마지막 실종자 200시간 만에 주검으로…매몰 7명 모두 사망(종합)

  • - 첨부파일 : bb3291ce3736d9ad336f35d4921e1aa7_20251115000524.jpg (279.6K) - 다운로드

본문

울산화력 붕괴 보일러타워 수색·구조 난항 끝 8일 만에 완료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현장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현장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의 마지막 실종자도 14일 끝내 주검으로 돌아왔다. 사고 발생 8일 만이다.

이에 따라 이번 사고 매몰자 7명 중 생존자는 없었다.

소방 당국은 이날 오후 9시 57분께 사고 현장인 보일러 타워 5호기 잔해에서 김모(62)씨의 시신을 수습했다고 밝혔다.

구조대는 이날 중장비로 잔해 상부를 걷어내고 내부를 확인하는 수색 작업을 반복하던 중 오후 8시 49분께 김씨의 위치를 확인했다.

이후 주변 철 구조물을 잘라내며 접근한 지 1시간여 만에 김씨의 시신을 잔해 외부로 옮겼다.

김씨는 이번 사고 매몰자 7명 중 가장 늦은 200시간 만에 시신으로 돌아왔다.

울산화력 실종자 수색 현장 구조견 투입
울산화력 실종자 수색 현장 구조견 투입

이번 사고는 지난 6일 오후 2시 2분께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5호기에서 발생했다.

준공 후 44년이 지난 노후 보일러 타워를 해체하기 위해 '사전 취약화 작업'(대형 구조물 철거 때 목표한 방향으로 쉽게 무너질 수 있도록 기둥과 철골 구조물 등을 미리 잘라놓는 것)을 하던 중 갑자기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내린 것이다.

높이 63m, 가로 25m, 세로 15.5m 규모의 거대한 철 구조물이 붕괴하면서 당시 작업 중이던 작업자 9명 중 2명은 구사일생으로 현장에서 급히 탈출했으나 나머지 7명은 매몰됐다.

사고 직후 구조대가 출동했으나 H빔과 크고 작은 철근 등이 실타래처럼 얽혀 있는 탓에 매몰자 수색에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철 구조물에 팔이 낀 채 사고 발생 1시간 10여분 만에 발견된 김모(44)씨는 생존해 간단한 의사소통이 가능했으나 잔해가 겹겹이 가로막고 있는 데다가 구조대가 막대한 하중의 구조물을 들어 올리고 진입할 수 없어 이튿날 오전 사망 판정을 받아 안타까움을 더했다.

이후 철근을 자르고 들어가서 벌이는 수색과 구조 작업이 다소 속도를 내면서 사고 이틀째인 7일에 매몰자 2명, 9일에 1명의 시신을 수습했다.

수색위해 발파되는 울산화력 보일러타워
수색위해 발파되는 울산화력 보일러타워

연합뉴스 자료사진

그러나 5호기 양옆에 나란히 서 있는 보일러 타워 4호기와 6호기의 추가 붕괴 위험으로 중장비 사용과 인력 투입이 어려워지면서 수색이 다시 난관에 부닥쳤다.

이에 중앙사고수습본부는 매몰자 가족과 협의를 거쳐 4·6호기를 발파해 수색의 장애 요소를 없애기로 하고, 사고 발생 엿새째인 지난 11일 낮 12시 발파를 진행했다.

이후 발파 당일 오후에 매몰자 1명, 12일과 13일에 각각 1명을 추가로 수습했다. 이어 사고 8일 만인 14일 밤 마지막 실종자를 찾았다.

모든 매몰자를 수습하면서 소방청은 사고 당일 오후 3시 13분 발령했던 국가소방동원령을 이날 오후 10시 17분부로 해제했다.

이번 보일러 타워 해체 공사는 한국동서발전이 발주해 HJ중공업이 시공을 맡았으며, 이를 발파 전문업체 코리아카코가 도급받아 진행 중이었다.

동서발전과 HJ중공업은 사고 발생 일주일만인 지난 13일에야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고개 숙인 권명호 동서발전 사장
고개 숙인 권명호 동서발전 사장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8일째인 13일 오전 한국동서발전 권명호 사장(오른쪽 세번째)과 임원진이 발전소 후문 앞에서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2025.11.13 [email protected]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상담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