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부산대·경상국립대병원 필수 의료·재정 붕괴 국감서 '도마'
-
- 첨부파일 : 6e1b7af341a3ea8c390fbde37b3311bd_20251023120531.jpg (150.3K) - 다운로드
본문
강경숙 의원 "필수과목 기피 심각"…"필수과 지원 꺼려…정책 지원 필요"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이 23일 경남 창원시 경남도교육청 2층 강당에서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의 부산대·부산대병원·부산대치과병원·경상국립대·경상국립대병원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2025.10.23 [email protected]
23일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부산대병원과 경상국립대병원의 필수 의료 붕괴와 대규모 재정 적자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강경숙 의원은 이날 경남도교육청에서 열린 부산대병원·경상국립대학병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두 병원의 전공의 충원율이 매우 저조하며 특히 경상국립대병원의 경우 올해 상반기 대다수 채용에서 지원자가 0명이었다"며 "외과, 소아청소년과, 심장혈관 흉부외과 등 필수과목의 기피 현상이 심각해 사실상 필수 의료가 거의 붕괴했다고 밖에 볼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대해 정성훈 부산대병원장은 "젊은 의사들이 '워라밸'을 중시하는 경향이 크다"며 "필수 의료과는 생명이 오가는 응급 상황이 많고, 사망 환자 발생과 의료 분쟁에 대한 위험 부담 때문에 지원 자체를 꺼린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가나 수당을 높여도 다른 과로 이탈하는 현상이 심해 정책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안성기 경상국립대병원장은 "피부미용 등 비필수 분야가 사법적 리스크 없이 고수익을 올리는 상황에서 전공의들은 필수의료를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지역 근무 전공의에 대한 전폭적인 재정 지원과 교육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김대식 의원이 23일 경남 창원시 경남도교육청 2층 강당에서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의 부산대·부산대병원·부산대치과병원·경상국립대·경상국립대병원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2025.10.23 [email protected]
강 의원은 올해 경상국립대병원에서 20명, 부산대병원에서 25명의 교수가 사직했다며 교수진의 이탈 또한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정성훈 부산대병원장은 "전공의 공백으로 인한 당직 부담 증가 때문에 일부 교수가 힘들어 떠난 것이 분명히 있다"며 "자구책으로 밤에 위중한 응급환자 발생 시 전문적으로 대응하는 대응팀을 만들어 당직 부담을 덜어주려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안성기 경상국립대병원장도 "자구 노력은 많이 하지만 한계가 분명하다"며 "수당을 올리고 싶어도 병원이 적자 경영을 하고 있어 교수들이 요구하는 정도에 미치지 못한다"며 재정적 어려움을 호소했다.
국민의힘 김대식 의원은 "경상국립대병원은 부채가 4천868억원, 자산이 4천650억원으로 완전 자본 잠식이 됐다"며 "일반 회사 같으면 부도가 났을 상황이며, 상장기업 같으면 상장 폐지에 이를 정도"라고 강조했다.
안성기 경상국립대병원장은 "아무래도 공공기관이다 보니까 구조적 한계도 있다"며 "우리 병원에서도 자구적 노력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