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이테크+] "오랑우탄의 폭넓은 먹이 지식은 문화 기반 사회적 학습 증거"
-
- 첨부파일 : bf70eaf6bd7ba7b31617ddb9160316c5_20251125000531.jpg (690.0K) - 다운로드
본문
국제연구팀 "250여 가지 먹이 정보, 다른 개체서 배우지 않으면 습득 불가"
야생 오랑우탄이 성장해 독립할 때 250여 가지 동식물성 먹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은 오랑우탄 무리에서도 문화 기반 사회적 지식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막스 플랑크 동물행동 연구소(MPI-AB) 엘리엇 하워드-스핑크 박사팀은 25일 과학 저널 네이처 인간 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서 야생 수마트라오랑우탄의 행동을 10여년간 기록한 관찰 데이터와 이를 토대로 한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는 야생 오랑우탄이 혼자 배우기 어려운 수준의 폭넓은 먹이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은 문화 덕분이라는 증거라며 인간 문화 축적의 뿌리가 인간과 유인원 공통 조상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인간은 생존과 번영을 위해 광범위한 지식을 배워야 하고 이런 지식은 지역 관습부터 작살이나 스마트폰 같은 도구를 고안할 수 있는 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문화적 지식은 개인이 평생을 투자해도 혼자 만들어낼 수 없을 만큼 복잡하기 때문에 사회적 학습을 통해 습득하게 된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비인간 야생종에서도 이와 유사한 학습 과정이 있는지 불분명했다며 이 연구에서 야생 오랑우탄의 폭넓은 식단 정보가 개별 개체가 성장하는 동안 홀로 습득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지 조사했다고 설명했다.
오랑우탄은 성체가 되는 15살 무렵까지 먹을 수 있는 식물과 동물 250여 가지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습득 방법 등은 명확지 않다.
연구팀은 인도네시아 수아크 발림빙 늪지에 사는 수마트라오랑우탄의 행동을 몇 분 단위로 12년간 기록한 일일 관찰 자료를 토대로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했다.
이를 통해 어린 오랑우탄이 성체가 되는 15살 무렵까지 스스로 방대한 먹이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지, 아니면 이를 다른 개체로부터 배워야 하는지 조사했다.
먼저 먹이 정보 학습 행동을 다른 개체가 먹는 것 지켜보기와 먹이 먹는 다른 개체에 가까이 다가가기, 다른 개체가 먹이 있는 장소 알려주기 등 3가지로 나누고, 각 행동이 없을 때 얼마나 많은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야생 오랑우탄이 성장하는 환경과 가장 유사한 조건인 3가지 학습 행동이 모두 존재할 경우 시뮬레이션에서 제시된 먹이 224종에 대한 정보를 모두 습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뮬레이션에서 3가지 학습 중 1~2가지 행동을 제거하면 성체가 될 때까지 습득하는 먹이 정보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행동 중 지켜보기만 제거될 경우 오랑우탄이 습득하는 먹이 정보는 212.7개로, 야생 오랑우탄이 가진 먹이 정보(250개)의 85% 수준에 그쳤다.
지켜보기와 다가가기를 제거하면 오랑우탄이 습득하는 정보는 152.5개로 줄었다. 이는 이런 상호작용이 없다면 습득하는 먹이 정보가 야생 오랑우탄(250개)의 61% 수준에 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워드-스핑크 박사는 "시뮬레이션에 사회적으로 고립된 오랑우탄은 개체별로 성장하는 동안 먹이에 노출될 기회가 수십만 번이 있었다"며 "하지만 이런 노출은 다른 개체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지식 습득을 대체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논문 공동 저자인 튀빙겐대 클라우디오 테니 박사는 "오랑우탄의 방대한 식단은 오랜 시간에 걸쳐 축적된 수많은 개체의 경험과 혁신의 산물일 것"이라며 "이 연구는 인류 문화 축적의 뿌리가 최소 1천300만년 전 인간과 유인원의 마지막 공통 조상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Human Behaviour, Elliot Howard-Spink et al., 'Culture is critical in driving orangutan diet development past individual potentials', http://dx.doi.org/10.1038/s41562-025-02350-y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