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뉴스 - 몽키TV

본문 바로가기

[연예] 상반기 지식서비스 적자 45억달러…해외 게임·OTT·앱 구독↑

  • - 첨부파일 : b11b65edcdb9b68074137eb94af53058_20250917120517.jpg (150.7K) - 다운로드

본문

작년 하반기보다 적자 8억달러↑…특허사용료·R&D발주도 적자확대 요인

정보통신 흑자 20억달러, 최대…K콘텐츠 덕에 문화·여가도 4억달러 흑자

해외 OTT (PG)
해외 OTT (PG)

[박은주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올해 상반기에만 우리나라가 지식서비스 무역에서 약 6조원에 이르는 적자를 봤다.

제조업의 기술 특허권 사용료 지급과 연구·개발(R&D) 발주 등이 늘어난 데다, 우리나라 국민이 게임·OTT(온라인동영상 서비스)·AI(인공지능) 관련 해외 앱들도 많이 구매·구독해 사용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17일 공개한 '2025년 상반기 지식서비스 무역통계'에 따르면 상반기 지식서비스 적자는 모두 45억3천만달러(약 6조2천600억원)로 집계됐다. 작년 하반기(-37억6천만달러)보다 적자 폭이 7억7천만달러 커졌다.

지식서비스 수지 통계는 주로 지식·정보를 기반으로 생산되고 디지털 형태로 거래되는 서비스의 수출에서 수입을 뺀 것으로 크게 지식재산권 사용료, 정보·통신 서비스, 문화·여가 서비스, 전문·사업 서비스 4개 분야가 포함된다.

유형별 지식서비스 무역수지 추이
유형별 지식서비스 무역수지 추이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 가운데 지식재산권 사용료 적자가 6개월 사이 14억4천만달러에서 24억5천만달러로 10억달러 늘었다.

세부적으로는 특허 로열티, 해외 브랜드 상표권·프랜차이즈권 관련 로열티 지급이 증가하면서 산업재산권 적자가 12억8천만달러에서 17억5천만달러로 불었다.

외국 게임·OTT·AI 앱, 온라인 구독 서비스 수요 증가와 함께 저작권 적자도 9천만달러에서 6억달러로 5억1천만달러나 급증했다.

전문·사업서비스 적자 폭(-44억8천만달러)도 R&D(-30억9천만달러) 등을 중심으로 4억5천만달러 커졌다.

박성곤 한은 국제수지팀장은 "(산업재산권, 전문·사업서비스 적자의 경우) 제조업 업황 개선에 따른 우리나라 기업의 생산·투자 확대와 경쟁력 확보 측면에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정보·통신서비스의 경우 흑자 규모가 12억8천만달러에서 19억6천만달러로 6억8천만달러 늘었다. 반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흑자 기록이다.

우리나라가 생산한 스마트폰에 외국 앱 등을 탑재해주고 받은 대가가 늘어난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문화·여가서비스 흑자도 작년 하반기와 같은 4억4천만달러를 기록했다. K팝 등 K 콘텐츠의 인기에 힘입어 공연·전시 관련 흑자가 1억8천만달러에서 2억달러로 늘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35억7천만달러)에서 흑자를, 북미(-37억7천만달러)와 유럽(-21억8천만달러) 등에서는 적자를 기록했다.

박 팀장은 "중국·동남아 등 아시아에서는 게임·특허 상품권 등 수출 호조로 흑자지만, 북미의 경우 우리나라 기업들이 원천기술을 많이 의존하기 때문에 지식재산권 수입이 많아 적자"라며 "아시아 흑자, 북미 적자의 이원화 구조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상담신청